스프링부트 with JPA 개념
-
스프링부트 with JPA 3강 - Springboot 동작원리!스프링부트 with JPA 개념 2020. 3. 6. 00:37
1. 스프링부트 동작원리 (1) 내장 톰켓을 가진다. 톰켓을 따로 설치할 필요 없이 바로 실행가능하다. (2) 서블릿 컨테이너 (3) web.xml -ServletContext의 초기 파라미터 -Session의 유효시간 설정 -Servlet/JSP에 대한 정의 -Servlet/JSP 매핑 -Mime Type 매핑 -Welcome File list -Error Pages 처리 -리스너/필터 설정 -보안 여기에서 Servlet/JSP 매핑시(web.xml에 직접 매핑 or @WebServlet 어노테이션 사용)에 모든 클래스에 매핑을 적용시키기에는 코드가 너무 복잡해지기 때문에 FrontController 패턴을 이용함. 참고 : https://galid1.tistory.com/487 (4) FrontCon..
-
스프링부트 with JPA 2강 - JPA란!스프링부트 with JPA 개념 2020. 3. 5. 23:57
1. JPA란? JPA는 Java Persistence API 이다. JPA는 ORM 기술이다. JPA는 반복적인 CRUD 작업을 생략하게 해준다. JPA는 영속성 컨텍스트를 가지고 있다. JPA는 DB와 OOP의 불일치성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공한다. (DB는 객체저장 불가능) JPA는 OOP의 관점에서 모델링을 할 수 있게 해준다. (상속, 콤포지션, 연관관계) 방언 처리가 용이하여 Migration하기 좋음. 유지보수에도 좋음. JPA는 쉽지만 어렵다.
-
스프링부트 with JPA 1강 - 스프링이란!스프링부트 with JPA 개념 2020. 3. 5. 23:51
1. 스프링이란? 스프링은 프레임워크이다. 스프링은 오픈소스이다. 스프링은 IoC 컨테이너를 가진다. 스프링은 DI 를 지원한다. 스프링은 엄청나게 많은 필터를 가지고 있다. 스프링은 엄청나게 많은 어노테이션을 가지고 있다. (리플렉션, 컴파일체킹) 스프링은 MessageConverter를 가지고 있다. 기본값은 현재 Json이다. 스프링은 BufferedReader와 BufferedWriter를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스프링은 계속 발전중이다.